node.js git 사용법

정보/뉴스

node.js git 사용법

담운 0 2,002 2019.06.08 05:39

git 사용은 생성된 앱에 key를 할당 한 후 사용하실 수 있으며, 아래 절차에 따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1. git 사용 전 사전 작업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여 public key을 생성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URL :

http://help.cafe24.com/cs/cs_manual_view.php?idx=46&page=1&categoryIdx=509&s_key=&s_value=&man_no=1

 

(1) Public key 등록

 

- C:/Users/ID/.ssh/id_rsa.pub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내용을 복사합니다.

   (public key 파일 경로는 운영체제에 별로 다를수 있습니다.)


 

- [카페24 로그인 - 나의서비스관리 - 기본관리 - Public key 관리] 에서 public key 등록


 

- 등록된 Public key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앱 생성

- [카페24 로그인 - 나의서비스관리 - 기본관리 - 앱 생성/관리]에서 사용하실 앱이름을 기입 후 앱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 생성된 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Public key 할당

- [카페24 로그인 - 나의서비스관리 - 기본관리 - 앱 생성/관리]에서 생성된 앱을 선택 후 key 할당버튼을 선택합니다.


 

- 등록 한 public key 명을 선택 후 -> 버튼을 선택하여 사용중인 Public key 로 등록합니다.


- 확인 버튼을 선택하시면 Public key 할당이 완료됩니다.


 

2. git 사용법

 

[Git Gui를 이용한 사용법]

 

- node.js 호스팅에서는 web.js 파일을 앱 기본 실행파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아래 내용은 web.js 파일을 생성 후 git 프로그램으로 파일 업로드를 하는 방법입니다.

 

(1) Git Gui를 실행합니다.

 

(2) Create New Repository 선택합니다.


 

 

(3) 저장소 위치를 설정합니다.


 

(4) Create 버튼을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출력됩니다.


 

(5) Edit > Options 메뉴를 선택합니다.


 

(6)  저장소 사용자명, 이메일 주소를 설정합니다.


 (7) Help > Show SSH key 선택합니다.


 

(8) Public Key 값 확인합니다. 값이 없다면 Public Key를 먼저 생성하여야 합니다.


 

(9) 저장소 위치에 web.js 파일을 생성합니다.

EX) 저장소 위치 : E:nodejstest


 

(10) 저장소 위치에 파일 생성 후 Git Gui 화면에서 Rescan 버튼을 클릭하면 Unstaged Changes 탭에 생성한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1) 생성한 파일을 선택 후 Stage Changed 버튼을 선택합니다.


 

(12) Staged Changes 탭에서 파일명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3) Staged Changes탭의 파일을 선택, Commit Message 탭에 메시지를 기입 후 Commit 버튼을 선택합니다.


 

(14) 원격저장소 등록 : Remote > Add 메뉴 선택


 

(15) Remote 저장소 설정

Name : 임의로 설정

Location : "카페24 로그인 - 나의서비스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앱 생성/관리"에서 생성된 앱의 저장소 위치 (git 제외한 주소복사)

ex) 저장소 : git techcs9433@boyotest77.cafe24app.com:techcs9433_boyotest77 에서 git제외한 주소를 복사합니다



 

(16) Public Key 생성시 사용했던 패스워드를 기입합니다.


 

(17) 패스워드가 일치한다면 아래와 같은 Success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8) 원격저장소로 파일 업로드 : Push 버튼 선택


 

(19) Souce Branches, Destination Repository 설정을 확인 후 Push 버튼을 선택합니다.

Remote : 원격저장소 설정 이름


 

(20) Public Key 생성시 사용했던 패스워드를 기입합니다.


 

(21) 패스워드가 일치한다면 Success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Success 메시지가 출력되면 파일을 정상적으로 원격저장소로 업로드된 것입니다.


 

(22)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카페24 로그인 - 나의서비스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앱 생성/관리"에서 생성한 앱을 중지 후 실행하여야 적용이 됩니다.

 

 

[Git Bash를 이용한 사용법]


(1) 저장소 생성

TEST@TEST-PC /e

$ mkdir testnodejs

 


TEST@TEST-PC /e

$ cd testnodejs

 


TEST@TEST-PC /e

$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e:/testnodejs/.git/

 


(2) 원격 저장소 설정

TEST@TEST-PC /e/testnodejs (master)

$ git remote add remote_nodejs testid@apptest.cafe24app.com:testid_apptest

 


(3) 기본 index 파일 생성(nodejs 호스팅에서는 web.js 파일을 index 파일로 사용됩니다.)

TEST@TEST-PC /e/testnodejs (master)

$ vi web.js

 


(4)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등록

TEST@TEST-PC /e/testnodejs (master)

$ git add .

 


(5) git commit

TEST@TEST-PC /e/testnodejs (master)

$ git commit -m "nodejs test"

[master (root-commit) c8e79b0] nodejs test

 1 file changed, 8 insertions(+)

 create mode 100644 web.js

 


(6) 원격 저장소에 push

TEST@TEST-PC /e/testnodejs (master)

$ git push remote_nodejs master

Enter passphrase for key '/c/Users/test/.ssh/id_rsa':

testid@apptest.cafe24app.com's password:

Counting objects: 2, done.

Delta compression using up to 2 threads.

Compressing objects: 100% (2/2), done.

Writing objects: 100% (2/2), 294 bytes, done.

Total 2 (delta 1), reused 0 (delta 0)

remote: web.js

remote: TMP_DIR = /tmp/testid/testid_apptest

remote: TARGET_DIR  = /home/hosting_users/testid/apps

remote: USER = testid

remote: >f..T...... testid_apptest/web.js

To testid@apptest.cafe24app.com:testid_apptest

   11be96c..5c74f53  master -> master

 

(7) 파일 업로드가 완료되었다면 "카페24 로그인 - 나의서비스관리 - 호스팅관리 - 기본관리 - 앱 생성/관리"에서 생성한 앱을 중지 후 실행하여야 적용이 됩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 cafe24 node.js호스팅 (완… 담운 2019.06.06 7885
71 Nodejs로 구현한 서비스를 Caf… 담운 2019.06.08 6923
70 cafe24 nodejs git 저장… 담운 2019.06.08 5318
69 cafe24 node.js git 사… 담운 2019.06.08 4557
68 카페24 node.js 접속준비 담운 2019.06.06 3970
67 과연 양방향매매로 수익낼 수가 있는가… 댓글+1 담운 2020.05.14 3613
66 주식자동매매 프로그램 환불요청 담운 2019.04.17 2669
65 Cafe24 node.js 호스팅 담운 2019.06.06 2507
64 해외선물옵션 API 시세 유료화 정책… 담운 2019.08.28 2493
63 GitHub - 소스트리(Source… 담운 2019.06.07 2422
62 카페24 node.js 접속준비 담운 2019.06.08 2384
61 cafe24 에서 nodejs hos… 담운 2019.06.06 2383
60 월 승률 90% 올리는 사람이, 수익… 담운 2019.04.28 2364
59 [리눅스] ssh-key를 생성하여 … 담운 2019.06.06 2300
58 Generate a Public/Pr… 담운 2019.06.06 2280
57 PuTTY 로 비밀번호 없이 ssh … 담운 2019.06.05 2262
56 ssh-key 생성 및 github,… 담운 2019.06.08 2254
55 불법거래 유형 담운 2018.08.31 2200
54 Github 사용하기, remote,… 담운 2019.06.08 2193
53 카페24에서 Node.js 서버로 A… 담운 2019.06.06 2127
52 GitHub SSH 키 생성 및 등록… 담운 2019.06.08 2072
51 ssh 키 인증 방식으로 로그인하기 담운 2019.06.06 2034
열람중 node.js git 사용법 담운 2019.06.08 2003
49 Nodejs로 구현한 서비스를 Caf… 담운 2019.06.08 2000
48 해외선물거래의 장점과 특징을 알아보자 담운 2019.05.19 1988
47 PuTTY를 사용하여 SSH 키 쌍 … 담운 2019.06.05 1984
46 GitLab 업무환경 구성 가이드 담운 2019.06.07 1975
45 [AWS] EC2 인스턴스 Putty… 담운 2019.06.06 1967
44 [Git] 소스트리 (SourceTr… 담운 2019.06.07 1959
43 주가지수 관련 모든 파생상품에 양도세… 담운 2019.01.08 1958
42 pem을 .ppk로 변환하기 담운 2019.06.06 1953
41 아마존( Amazon ) AWS 윈도… 담운 2019.06.05 1951
40 Windows에서 git 및 node… 담운 2019.06.08 1950
39 이베스트 투자증권은 담운 2019.04.14 1921
38 Git 서버 - SSH 공개키 만들기 담운 2019.06.08 1918
37 입출금/환전안내 담운 2019.04.27 1910
36 Github와 로컬 환경 설정 담운 2019.06.05 1908
35 Git 설치와 사용법(Git Bash… 담운 2019.06.08 1900
34 Converting SSH keys … 담운 2019.06.06 1888
33 Git 브랜치(Branch) 관리 담운 2019.06.08 1884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0 명
  • 오늘 방문자 77 명
  • 어제 방문자 202 명
  • 최대 방문자 881 명
  • 전체 방문자 225,539 명
  • 전체 게시물 145 개
  • 전체 댓글수 1 개
  • 전체 회원수 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