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와 로컬 환경 설정

정보/뉴스

Github와 로컬 환경 설정

담운 0 1,682 2019.06.05 22:42
이번 포스트에서는 Github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SSH Key 등록에 관하여 설명합니다.
현재 저는 TortoiseGit을 사용하므로 Puttygen 및 pageant를 이용하여 SSH Key 생성 및 인증작업을 진행 하는 방식으로 설명합니다.

 
SSH Key 등록은 아래의 절차로 진행합니다.
1, SSH 생성(with PuTTY Key Generator)
2, 인증 에이전트(Pageant.exe)에 Key 등록
3, Github에 public key 등록

SSH 생성

 해당 작업은 TortoiseGit의 설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만약, 설치 전이시면 설치를 먼저 해주세요.

PuttyGen 실행

시작 메뉴를 이용하여 TortoiseGit의 PuttyGen를 실행합니다.


Open SSH key 생성

 화면이 나오면 [Generate]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의 붉은 큰박스에다 마우스를 올리고 임의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상단의 프로그레스바가 증가하여 생성이 완료됩니다.


Private key 저장

 생성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Public key for pashing into OpenSSH authorized keys file" 등이 생성됩니다.
 
 우선 우리에게 필요한 Key 종류는 private key 이므로 [Save private key]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할 경로를 선택(e.g.> C:\Users\<사용자명>\ssh 등)하여 PPK파일을 저장합니다.
 (선택사항)Key passphrase 항목에 암호를 입력하여 암호를 사용 할수도 있습니다.


우선 위의 윈도우는 닫지 않고 그냥 둡니다.(위의 Public key를 복사하여 Github에 등록해야 합니다.) 


인증 에이전트에 Key 등록

Pageant 실행

 시작메뉴를 이용하여 Pageant를 실행합니다.



만약 화면이 보이지 않으면 트레이 아이콘을 확인하여 로드하세요.




Key 등록
 [Add key] 버튼을 눌러 위에서 저장한 Private key를 선택하여 Key를 등록합니다.(SSH Key의 passphrase를 입력하셨다면 입력하신 암호를 입력합니다.)


위 처럼 목록이 하나 생기면 성공입니다.

☞ 참고 : 위의 작업(Pageant 실행 및 Key 등록)은 윈도우 시작 시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시작프로그램에 등록
시작메뉴에서 시작프로그램 항목의 팝업메뉴를 호출하고, 열기버튼을 선택하여 시작메뉴 윈도우탐색기를 호출합니다.



위에서 열린 윈도우에서 "새로 만들기 > 바로가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위의 그림처럼 "pageant.exe"의 경로를 선택하고 그 뒤에(공백 한칸) SSH Private key 경로를 입력하여 바로가기를 만듭니다. 


Github에 public key 등록

Github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합니다.

SSH Public Keys 화면으로 이동
상단의 Account Settings 버튼을 클릭 후 SSH Public Keys 메뉴로 이동합니다.
Add another public key를 눌러 SSH key 등록 화면을 호출합니다.



Keys 등록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PuttyGen의 Key를 복사하여 붙여넣기 합니다. Title 항목은 비우거나 구분이 가능한 제목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Add key를 눌러 추가 합니다.



이것으로 SSH Key 등록까지 마쳤습니다.
다음 장에는 실제 저장소를 만들고 로컬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 과연 양방향매매로 수익낼 수가 있는가… 댓글+1 담운 2020.05.14 2943
71 [해외선물] 실시간 시세신청 안내-지… 담운 2020.05.11 970
70 해외선물 실시간 시세 무료로 볼 수 … 담운 2020.05.10 1528
69 DB금융투자, 수수료 혜택 등 해외선… 담운 2020.04.02 869
68 위험 고지 담운 2020.03.31 865
67 리스크 고지 담운 2020.03.11 862
66 해외선물 증거금 담운 2019.10.20 1147
65 CME E-micro 담운 2019.10.20 1115
64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확정신고 안내 담운 2019.09.25 1193
63 주식, 암호화폐, 해외주식 세금 비교 담운 2019.09.13 1155
62 해외선물옵션 API 시세 유료화 정책… 담운 2019.08.28 2257
61 Github에 ssh키 생성하고 등록… 담운 2019.06.08 1477
60 github-white-logo-70… 담운 2019.06.08 1505
59 ssh-key 생성 및 github,… 담운 2019.06.08 2001
58 Git 서버 - SSH 공개키 만들기 담운 2019.06.08 1683
57 Nodejs로 구현한 서비스를 Caf… 담운 2019.06.08 6383
56 GitHub SSH 키 생성 및 등록… 담운 2019.06.08 1828
55 기타 Git 명령어(cherry-pi… 담운 2019.06.08 1279
54 Merge와 Rebase 담운 2019.06.08 1403
53 Git 브랜치(Branch) 관리 담운 2019.06.08 1638
52 Git commit 수정하기, dif… 담운 2019.06.08 1465
51 Github 사용하기, remote,… 담운 2019.06.08 1949
50 Git 저장소 생성(init), 최초… 담운 2019.06.08 1554
49 Git 설치와 사용법(Git Bash… 담운 2019.06.08 1628
48 node.js git 사용법 담운 2019.06.08 1771
47 Windows에서 git 및 node… 담운 2019.06.08 1704
46 Nodejs로 구현한 서비스를 Caf… 담운 2019.06.08 1730
45 Git 활용 (기본적인 사용법) 담운 2019.06.08 1533
44 cafe24 nodejs git 저장… 담운 2019.06.08 4994
43 카페24 node.js 접속준비 담운 2019.06.08 2152
42 cafe24 node.js git 사… 담운 2019.06.08 4114
41 GitHub - 소스트리(Source… 담운 2019.06.07 2182
40 Sourcetree 설치 가이드 담운 2019.06.07 1418
39 [Git] 소스트리 (SourceTr… 담운 2019.06.07 1723
38 GitLab 업무환경 구성 가이드 담운 2019.06.07 1694
37 Git :: 소스트리(SourceTr… 담운 2019.06.07 1568
36 cafe24 에서 nodejs hos… 담운 2019.06.06 2118
35 카페24 node.js 접속준비 담운 2019.06.06 3391
34 카페24에서 Node.js 서버로 A… 담운 2019.06.06 1830
33 ssh 키 인증 방식으로 로그인하기 담운 2019.06.06 1774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0 명
  • 오늘 방문자 85 명
  • 어제 방문자 127 명
  • 최대 방문자 608 명
  • 전체 방문자 183,855 명
  • 전체 게시물 145 개
  • 전체 댓글수 1 개
  • 전체 회원수 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