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캐스틱(Stochastics)

스토캐스틱(Stochastics)

담운 0 1,649 2018.09.11 09:22

스토캐스틱(Stochastics)

STOCHASTIC.JPG

1. 개요

스토캐스틱은 추세가 없는 시장에서 잘 적용되는 지표로서 주어진 기간 중에 움직인 가격 범위에서 오늘의 시장가격이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George Lane이 개발).

시장가격이 상승추세 있다면 현재가격이 최고가(지표 값의 상한선인 100) 부근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며, 하락추세에 있다면 현재가격이 최저가(지표 값의 하한선인 0) 부근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가격 사이클이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스톡캐스틱의 기간을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가격의 정점과 바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게 됩니다. 단, 가격보다 후행성지표인 점은 단점입니다.

2. 공식

기간을 %K는 5일을, %D는 3일을 제일 많이 사용함.

%K = 〔(오늘 종가-N일중 최저가) / (N일중 최고가-N일중 최저가)〕× 100
%D = %K의 이동평균

위의 %K와 %D를 각각 Fast %K, Fast%D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D선을 %K으로 잡고 다시 이것의 t일이동평균을 구해 지표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Slow %D라고 합니다.

Slow %K = Fast %D의 t일 이동평균
Slow %D = Slow %K = Fast %D의 t일이동평균

2-1. Fast Stochastic :
%K를 구하는 기준이 되는 N일과 %K로부텨 %D를 구하는 M일, 이 두개의 수치를 필요로 하며 (N-M)으로 표시합니다. 그래프선이 가파르고 해서 실전에서는 활용을 거의 안함.

2-2. Slow Stochastic :
%k 와 함께 %D수치에 t일 값이 하나 더 필요합니다. 따라서 (N-M-t)로 표시하며 대부분의 금융사 플랫폼에는 (5-3-3)으로 기본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래프선이 완만한 형태를 띠고 실전에서 주로 활용됨.

2-3. (5-3-3)의 의미 :
Fast Stochastic을 최근 5일간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이용하여 구하되, Fast Stochastic의 이동평균선은 3일선으로 구하며 %k 와 %D 는 각각 3일 이동평균선을 취한 값으로 최종 Slow Stochastic 챠트를 구한다는 뜻입니다.

stochastic2.JPG

3. 적용방법

3-1. 과매수 / 과매도 구역 설정 :

일반적으로 스토캐스틱이 75이상일 때 과매수 상태, 25 이하일 때 과매도 상태로 판단합니다. 시장가격이 과매수 상태에 들어서면 하락 반전의 가능성이 커지고, 과매도 상태에 들어서면 상승 반전의 가능성이 커지는 것을 이용합니다.

스토캐스틱의 값이 과매수/과매도권에 들어섰다고 해도 반드시 정점 내지 바닥을 찍었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스토캐스틱이 과매수 지점을 하향 돌파할 때는 매도 포지션을, 과매도 지점을 상향 돌파할 때는 매수포지션을 가지는 것이 안전합니다.

3-2. %K선과 %D선의 교차를 이용하는 방법 :

두 이동평균선의 교차를 매수/매도의 시점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K선(단기이동평균선)이 %D선(장기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를 매수타이밍으로 간주하고, %K선이 %D선을 하향 돌파할 때를 매도타이밍으로 간주합니다.

빈번한 매매신호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속임형 매매로 인해 손실을 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75이상의 과매수 구간에서 %K선이 %D선을 하향 돌파할 때 매도 포지션을 취하고 25이하의 과매도 구간에서 %K선이 %D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포지션을 취하는 전략을 구사하시면 됩니다.

3-3. Divergence에 따를 매매 전략 :

Divergence의 발생은 추세가 이미 전환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현 추세의 강도가 약해져 기존 진행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D가 25선 아래에서 전 저점보다 높은 저점을 형성할 때 발생하는 것을 강세 Divergence, %D가 75선 위에서 전고점보다 낮은 고점을 기록할 때 약세 Divergence로 구분합니다.

이 경우 추세반전에 대한 확인과정을 거친 후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D선이 방향을 전환해 %K선과 교차할 때를 매매시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주의할 점

상승이나 하락으로의 추세가 강하게 형성될 때는 지표 값이 과매수/과매도 구간에 계속해서 머물기 때문에 추격매수/ 추격매도를 유보해야 합니다.

강한 추세장 상황에서는 과매수/과매도 구간에 따른 매매전략보다는 추세조정 후반에 나타나는 %K선과 %D선이 교차할 때 거래에 임해야 합니다.

상승추세가 진행 중일 때는 일시적 반락이후 %K가 %D를 상향 돌파하는 시점에서만 매수포지션을 취합니다.

시장가격이 초단기조정을 보일 때에는 속임형 매매신호가 자주 나타나 스토캐스틱을 이용한 매매전략의 투자수익률이 좋지 않은데, 이런 경우엔 가격 사이클에 맞추어 스토캐스틱의 기간을 축소하는 방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Comments

Total 38 Posts, Now 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