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I (Commodity Channel Index)
- 최근 가격이 평균가격의 이동평균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표시한다.
-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표시하는 지표이다.
- CCI의 절대값이 크다는 것은 추세는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CCI의 부호값이 (+)일 경우는 상승추세, (-)일 경우는 하락추세로 이해할 수 있다.
- ADX가 추세의 강도만 나타낼 뿐 방향은 나타내지 못하는 반면, CCI는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모두 나타낼 수 있어 추세추종형 거래자들에게는 유용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1. CCI 계산방법
- CCI = ( M - m ) / ( d × 0.015 )
- M( 평균가격 ) = ( 당일의 고가 + 당일의 저가 + 당일의 종가 ) / 3
- m = M의 n일 단순이동평균( 20일을 기본값 )
- d = 절대값(│M-m│)의 n일 단순이동평균( 20일을 기본값 )
- 0.015는 CCI가 -100에서 +100를 크게 벗어나지 않게 하기 위한 상수(arbitrary)
- CCI값의 70~80%가 ±100사이에 있다
2. 사용방법
① 단기 CCI ( 20기간 보다 짧은 기간 사용 )
- CCI가 +100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하고 다시 +100선을 하향 돌파하면 청산
- CCI가 -100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하고 다시 -100선을 상향 돌파하면 청산
② 장기 CCI
- CCI가 " 0 "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하고 " 0 "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하는 기법
- 이 방법은 기간이 너무나 장기이기 때문에 가격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단점
-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진입포지션은 (즉 현물매매의 경우 매수는) CCI를 이용하고 청산은 단기지표를 이용하거나 청산기준을 따로 정하기도 한다.
③ 박스장에서의 CCI 이용법
- 가격이 큰 추세없이 등락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CCI ±100 사이에서 움직인다
- +100에서 하락할 때 매도 -100선에서 상승할 때 매수
3. 유의사항
① CCI의 기울기가 가파르다는 것은 시장의 전반적인 추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 CCI가 Lambert의 방법이든 zero CCI에 의하든 매매신호를 주지 않더라도 CCI는 의미 있는 판단의 도구가 된다.
③ CCI가 ±100% 이내에서 횡보를 지속한다면 이 기간은 CCI와 같은 추세형 전략을 이용하기가 어렵다. 이는 ADX 등으로 다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④ CCI가 지속적으로 ±100이상에서 움직인 뒤 이전의 CCI의 진행에서 약간의 방향 전환이 있다면 이미 형성되고 있는 방향의 반대로의 신규 진입은 주의를 해야 한다. 오히려 이 경우는 포지션 추가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⑤ CCI의 divergence는 매우 의미있는 시장 반전의 신호이다.